반응형

편하게 근무하고 지원금도 받아가는 법 알려드립니다

 

코로나 19가 퍼진 뒤 기업에서도 근무 유형이 다양해졌습니다.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거나 재택근무를

권장하고 있는데요. 많은 기업들이 근무 유형이 변경되며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는

의견이 많이 생겼습니다. 

 

이에 많은 기업들이 효율을 높히기 위해 근무유형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변경된 근무유형을

'유연근무제'라고 합니다. 국가에서는 유연근무제를 적용하는 기업에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해당 지원금을 받으려하는 기업은 유연근무제 지원금이 어떤 지원금인지부터 알아야겠죠?

 

편하게 근무하고 지원금도 받아가는 법 알려드립니다

 


근무유연제 지원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선 유연근무제 유형에 대해 알아야 됩니다.

유연근무제는 2016년도에 도입된 제도로서 해당 근무제를 도입한 중소기업의 사업주에게 인건비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현재는 이동시간을 줄이고 인건비도 아낄 수 있게 해주는 용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유형은 4가지가 있는데요.

시차출근제, 선택근무제, 재택근무제, 원격근무제가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유형

근무유연제 지원금은 이렇게 4가지 유연근무제 유형 중 하나라도 사용하면 됩니다. 이때 선택근무제의 경우

근로기준법에 맞춰 명시된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서가 있어야 하며 시차출퇴근제는 통상 근로시간에서 

최소 30분 이상 변경해야 합니다.


지원금은 활용근로자 당 지급되는데요. 연 최대 520만원이 지원됩니다.

지원 내용

이때 선택근무제는 활용횟수 산정없이 활용근로자 1인당 1주에 10만원이 지급됩니다.

지원인원 한도가 정해져있습니다. 사업참여신청서를 제출한 날이 속한 달의 직전년도 말일 기준 피보험자수의

30% 한도로 하되, 70명 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실제 활용한 기간에 따라 1년의 범위 내에서 지원되며 주당 활용 횟수에 따라 주단위로 계산됩니다.


최근 코로나 백신이 베포되며 그 기세가 수그러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기업에서는 해당 제도를 이용해서 근무자들의 코로나 감염 가능성도 낮추고 인건비도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